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 KOEXKRSEXXX / KOEXKRSE 조회 ✅ 해외송금 받을 때 꼭 필요한 코드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 KOEXKRSEXXX / KOEXKRSE 조회 ✅ 해외송금 받을 때 꼭 필요한 정보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 KOEXKRSEXXX / KOEXKRSE 조회 ✅ 해외송금 받을 때 꼭 필요한 코드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 KOEXKRSEXXX / KOEXKRSE 조회 ✅ 해외송금 받을 때 꼭 필요한 코드

해외에서 한국 하나은행 계좌로 송금받을 때 필수 정보

🌍 해외에서 한국 하나은행 계좌로 돈을 보내려면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SWIFT Code)를 정확하게 알려줘야 합니다. 이 글에서는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 KOEXKRSEXXX (8자리 버전: KOEXKRSE)가 무엇인지, 어떤 상황에서 이 코드가 필요한지, 그리고 실제 해외송금 받을 때 어떤 정보를 세트로 알려줘야 하는지까지 한 번에 정리합니다. 💬 “하나은행 BIC 코드가 뭐예요?” 라고 물어보면 사실상 같은 말이라 그대로 답하시면 됩니다.

하나은행 SWIFT CODE (BIC) KOEXKRSEXXX KOEXKRSE (8자리 버전)

📌 해외 송금 서비스나 은행에 따라 8자리만 허용(KOEXKRSE)하거나 11자리(…XXX까지)까지 요구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 KOEXKRSEXXX / KOEXKRSE 는 무엇인가요? 📌 (하나은행 BIC 코드와 동일한가요?)

💡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SWIFT Code)는 전 세계 은행 간에 “이 은행이 맞습니다” 하고 정확히 식별하는 국제 표준 코드입니다. 해외 은행 창구나 해외 송금 앱(와이어 트랜스퍼/Wire Transfer 등)에서 “받는 은행의 SWIFT/BIC 코드를 입력하세요”라고 하면 바로 KOEXKRSEXXX (또는 8자리 KOEXKRSE) 를 적으면 됩니다. 

은행 한글명 하나은행
은행 영문명 Hana Bank / KEB Hana Bank
스위프트 코드 (SWIFT / BIC) KOEXKRSEXXX / KOEXKRSE
본점 영문 주소 35, Eulji-ro, Jung-gu, Seoul, 04523, Korea
📌 SWIFT 코드 = BIC 코드 라고 생각해도 괜찮아요. BIC Code, SWIFT Code 둘 다 은행 식별용 코드이며 하나은행의 경우 KOEXKRSEXXX가 대표 코드입니다.

해외에서 한국 하나은행 계좌로 송금받기 💸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 외에 꼭 알려줘야 하는 정보

“KOEXKRSEXXX만 알려주면 끝?” 은 아니에요 😅 해외에서 한국 하나은행 계좌로 송금 받을 때 아래 정보까지 같이 보내주면 송금 지연/반송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 은행 영문명: Hana Bank (또는 KEB Hana Bank)
  •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SWIFT/BIC): KOEXKRSEXXX 필수
  • 수취인 이름(받는 사람): 여권에 적힌 영문 이름 그대로 (예: KIM MINSU)
  • 수취인 계좌번호: 본인 하나은행 계좌번호 (하이픈 없이 숫자만)
  • 은행 주소(본점 주소):
    35, Eulji-ro, Jung-gu, Seoul, 04523, Korea
해외 은행 직원이 “Bank address(은행 주소)”를 요구하면 위 본점 주소를 기입하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단, 특정 국가(미국 등)에서는 추가로 중계은행(Intermediary Bank) 정보를 요구하기도 하므로 보낸 쪽 은행에서 안내한 중계은행 정보가 있으면 그대로 넣어 주세요.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 KOEXKRSEXXX 직접 확인하는 방법 🔎 안전하게 조회하려면?

급하게 해외에서 송금하겠다고 할 때 “혹시 코드 틀리면 어쩌지?” 걱정될 수 있죠. 아래 방법으로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를 다시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하나은행(고객센터/영업점)에서 직접 확인하기 ☎

가장 확실한 건 은행 본인 확인입니다. “해외에서 제 하나은행 계좌로 송금받으려는데 SWIFT 코드가 KOEXKRSEXXX 맞나요?”라고 물어보면 최신 기준으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큰 금액(학비, 보증금, 급여 등)일수록 꼭 확인해 주세요.

중요 포인트

“블로그에 이렇게 쓰여 있던데요”보다 실제 은행/상담원 안내 내용을 최종본으로 쓰세요. 국가마다 요구 항목(중계은행, 수취인 주소 등)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해외 보내는 쪽 은행 앱에서 ‘SWIFT / BIC’ 또는 ‘Bank code’ 칸 찾기

해외 송금 앱이나 은행 웹/모바일 송금 화면에 “SWIFT / BIC” 라고 된 입력칸이 거의 항상 존재합니다. 거기에 KOEXKRSEXXX 또는 KOEXKRSE를 넣으면 됩니다. 일부 시스템은 8자리만 허용하기 때문에 11자리(…XXX)가 안 들어갈 수도 있어요 → 그 땐 8자리만.

💡 만약 “Invalid SWIFT code(유효하지 않은 코드)”라는 에러가 나오면 8자리(KOEXKRSE) ↔ 11자리(KOEXKRSEXXX)를 바꿔서 시도해보세요. 송금 서비스마다 입력 형식 제한이 다릅니다.

해외송금 받을 때 자주 하는 실수 🙅 하나은행 송금 지연/보류되는 이유

1) 수취인 이름을 한글로 적음

해외 은행은 ‘받는 사람 이름’을 보통 영문 풀네임으로 받습니다. 예: 박민수 → PARK MINSU / KIM HANEUL → KIM HANEUL 여권과 철자 다르면 심사 과정에서 보류될 수 있어요.

2) 계좌번호에 하이픈 넣음

🙅 “123-456-7890” 이런 식 말고 숫자만 적어야 합니다. 하이픈이 있으면 시스템에서 계좌번호를 못 알아보고 송금 실패 처리될 수 있어요.

3) 은행 주소 대신 자기 집 주소를 적음

해외 은행이 요구하는 “Bank Address(은행 주소)”는 하나은행(수취은행) 주소를 적으라는 의미인 경우가 많아요. → 예: 35, Eulji-ro, Jung-gu, Seoul, 04523, Korea 반대로 “Recipient address(수취인 주소)”라고 나오면 그건 본인 거주지 주소를 적으면 됩니다. 둘이 바뀌면 심사에서 멈출 수 있습니다.

가장 많이 헷갈리는 부분 😱

✔ 은행 주소: 하나은행 쪽 주소
✔ 수취인 주소: 내 주소 (내 집 주소 등)
이 둘은 달라도 100% 정상입니다. 오히려 달라야 정상인 경우가 많아요.



자주 묻는 질문 (FAQ) 🙋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 / 해외송금 관련 롱테일 질문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 KOEXKRSEXXX 와 KOEXKRSE 중 뭐가 맞나요?
둘 다 맞습니다. KOEXKRSEXXX = 11자리 (본점/Head Office 표기, XXX 포함) KOEXKRSE = 8자리 (간략 버전) 일부 은행 시스템은 8자리만 받으니까 KOEXKRSE만 넣어도 정상적으로 하나은행으로 라우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나은행 BIC 코드가 뭐예요? BIC 코드랑 스위프트 코드 다른 건가요?
BIC 코드 = SWIFT 코드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BIC code?”라고 물어보면 그냥 KOEXKRSEXXX 알려주시면 돼요. 실제로 해외 은행도 두 표현을 거의 같은 뜻으로 씁니다.
IBAN 번호도 알려달라고 하는데, 한국 하나은행 계좌에도 IBAN이 있나요?
IBAN(아이반)은 유럽, 중동 등 일부 지역에서 쓰는 국제 계좌번호 형식입니다. 한국 국내 계좌(하나은행 포함)는 보통 IBAN이 없어요. 대신 아래 정보로 충분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은행명: Hana Bank (KEB Hana Bank)
- SWIFT/BIC: KOEXKRSEXXX
- 수취인 영문 이름(여권과 동일)
- 수취인 계좌번호
- 은행 주소(본점 주소)

상대 은행에 “Korea doesn't use IBAN.”이라고 알려주면 이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계은행(Intermediary Bank) 정보까지 달라고 해요. 이건 뭔가요?
국제 송금은 어떤 통화(USD, EUR 등)로 어디서 보내느냐에 따라 중간에 다른 은행(중계은행)을 거칠 수 있어요. 그래서 보내는 쪽 은행이 “중계은행 정보도 적으세요”라고 요구할 수 있습니다. 이건 국가/은행마다 다르므로, 무조건 하나로 통일된 답이 없습니다. ✅ 이 경우에는 꼭 보내는 쪽 은행 + 하나은행 상담 두 곳 모두에게 받은 안내를 그대로 적어야 안전합니다.
송금이 언제 제 하나은행 계좌에 들어오나요?
보통 국제 전신송금은 1~3 영업일 안에 들어오는 경우가 많지만 송금국가, 통화(USD/EUR 등), 주말&공휴일, 심사 여부, 중계은행 처리 속도에 따라 더 걸릴 수도 있습니다. “오늘 바로 들어오나요?”라고 단정 지을 수 없고, 급한 송금이면 보내는 은행에 빠른 Wire Transfer(전신) 옵션을 요청하세요.
수수료(OUR / SHA / BEN)는 뭘로 해야 유리해요?
해외송금 수수료 분담 방식은 보통 이렇게 나옵니다:

- OUR: 보내는 사람이 전부 부담 → 내가 거의 깎이지 않고 받음 💰
- SHA: 수수료를 반반 나눔 (가장 일반적)
- BEN: 받는 사람이 수수료 부담 → 내게 들어오는 금액이 줄어듭니다

큰 금액일수록 OUR 또는 SHA를 많이 쓰고, BEN은 “조금만 보내는 테스트 송금”에 쓰는 경우가 많아요.

정리 👍 하나은행 해외송금 받을 때 꼭 기억할 핵심 체크리스트

하나은행 해외송금 체크리스트
  • 스위프트 코드(SWIFT/BIC): KOEXKRSEXXX (또는 KOEXKRSE)
  • 은행 영문명: Hana Bank / KEB Hana Bank
  • 수취인 이름: 여권과 동일한 영문 이름
  • 수취인 계좌번호: 하이픈(-) 없이 숫자만
  • 은행 주소(본점): 35, Eulji-ro, Jung-gu, Seoul, 04523, Korea

🔒 정보(이름 철자, 계좌번호, 스위프트 코드, 은행 주소) 중 하나라도 틀리면 해외 송금이 중간에서 Hold(보류)되거나 반송될 수 있어요. 특히 이름은 여권 영문이랑 철자까지 똑같은지 꼭 다시 체크하세요.

본 글은 하나은행 스위프트 코드(KOEXKRSEXXX / KOEXKRSE) 및 하나은행 해외송금 관련 핵심 정보를 정리한 안내용 페이지입니다. 실제 송금 전에는 반드시 송금하는 은행과 하나은행 고객센터에 최종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