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피내암 질병코드 D126 의미|진단서와 보험 청구 시 알아야 할 코드


상피내암 질병코드 D126 의미|진단서와 보험 청구 시 알아야 할 코드

🩺 이 글은 상피내암질병코드 D126의 실제 의미를 비교해 진단서 해석과 보험 청구 준비에 바로 쓰도록 정리했습니다. D01 계열과 D12 계열의 차이, 병리 소견과 코드 매칭, 코드 정정 요청 요령까지 체크하세요.

핵심 요약
D126은 보통 대장 양성종양(폴립/선종 등)에 쓰이며, 상피내암은 일반적으로 D01(예: D010 대장)로 표기합니다. 즉, D126 = 양성, D01x = 상피내암으로 구분되며, 보험 담보보장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① 🧬 상피내암 vs D126: 코드 체계와 의미 차이 정리

코드 명칭만으로도 보험 담보가 달라질 수 있어요. 상피내암D01 계열로, 질병코드 D126D12 계열에 속합니다.

코드분류일반적 의미청구 시 유의
D01x상피내암 제자리암(비침윤) 병리학적 Tis, carcinoma in situ(침윤 없음) 약관에 따라 제자리암 담보 대상인 경우 多
D12xD126 포함 양성종양 대장 폴립/선종 등(비악성) 일반적으로 암 담보가 아닌 기타/양성 취급
Cxx 악성신생물 침윤성 암 암 담보(일반암) 대상인 경우 多
중요
동일한 병리 소견이라도 의료기관의 코드 부여가 다를 수 있습니다. 최종 판단은 병리 보고서(진단명·소견·행동양식)진단서를 합쳐 확인하세요.


② 🩺 진단서에 D126이 찍힌 이유와 해석 포인트

  • 대장 선종/폴립으로 병리 결과가 나온 경우 통상 D126으로 기재
  • 중등도/중증 이형성(HGD)만 있고 침윤 증거 없음이면 D12로 분류될 수 있음
  • 반대로 병리 소견에 carcinoma in situ / intramucosal carcinoma / Tis와 같은 표현이 명확하면 D01x 검토 대상

즉, 질병코드 D126이라고 해서 자동으로 상피내암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반드시 병리 보고서 원문과 대조해 보세요.

③ 🧾 보험 청구 준비물: 병리·의무기록·코드 일치 체크리스트

보험 청구 체크리스트
  1. 진단서 원본(코드·진단명·진단일자)
  2. 병리 보고서(진단명, 소견: Tis/침윤 여부, 이형성 정도)
  3. 수술·시술 확인서(내시경 절제·수술명·날짜)
  4. 의무기록 사본(진단 근거가 되는 주요 문구 포함)
  5. 보험 약관(제자리암/경계성/양성종양 담보 정의 확인)

서류의 진단명·코드·병리 문구가 서로 일치해야 심사가 원활합니다. 불일치 시 추가 소명이나 의료기관 추가기재가 필요할 수 있어요.



④ 🔎 병리 보고서 문구와 코드 매칭 예시

병리 보고서 예시 문구해석 포인트검토 코드
“Tubular adenoma with low-grade dysplasia” 양성 선종, 저도 이형성 D12x (예: D126)
“Tubulovillous adenoma with high-grade dysplasia, no invasion” 고도 이형성, 침윤 없음 D12x 가능 / 상황 따라 D01x 검토
“Carcinoma in situ (Tis), intramucosal carcinoma, no submucosal invasion” 상피내암(침윤 없음) D01x (예: D010)
“Adenocarcinoma with submucosal invasion” 점막하 침윤 존재 C18~C20 등 악성

용어가 혼재할 수 있으니 행동양식(behavior) 표기(예: /0 양성, /2 상피내, /3 악성 침윤)를 확인하면 판단이 쉬워집니다.


⑤ 📝 코드 정정/추가기재 요청 요령(실무 커뮤니케이션 문구)

병리 소견이 상피내암에 부합하는데 진단서가 D126으로만 발급된 경우, 아래처럼 정중히 요청해 보세요.

[코드 추가/정정 요청 예시]
안녕하세요. ○○○ 환자입니다.
병리 보고서에 ‘carcinoma in situ(Tis)/intramucosal carcinoma’ 표현이 확인되어
진단서에 D01x(상피내암) 관련 내용의 추가 기재(또는 코드 정정)가 가능한지 검토 부탁드립니다.
필요 시 추가 자료를 제출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의료기관 정책에 따라 추가소견서의무기록 사본으로 대체될 수 있습니다. 담당과 외래 진료 시 의사와 직접 상의하면 정확합니다. 🙏

❓ 자주 묻는 질문

D126이 암을 의미하나요?

일반적으로 아닙니다. D126은 대장 양성종양 코드로 쓰입니다. 다만 병리 소견에 상피내암(Tis)이 명확하면 D01x 검토가 필요하므로, 병리 보고서 원문진단서를 함께 확인하세요.

D01과 D12의 보험 차이는?

여러 보험에서 D01은 제자리암 담보 대상, D12는 양성종양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정확한 보장은 가입 약관담보 정의에 따르므로 보장분류표를 반드시 확인하세요.

코드가 잘못된 것 같으면?

우선 병리 보고서의무기록에서 침윤 여부(Tis/SM invasion)를 확인하세요. 상피내 수준이면 의료기관에 추가기재/정정을 예의 있게 요청하고, 변경이 어려우면 추가소견서로 근거를 확보해 청구 시 제출합니다.

서류는 무엇이 필요하죠?

진단서, 병리 보고서, 수술·시술 확인서, 의무기록 사본, 보험 약관이 기본입니다. 서로 코드·진단명·소견이 일치하는지 마지막에 한 번 더 대조하세요.

고도 이형성이면 어떻게 보나요?

고도 이형성은 상황에 따라 D12 또는 D01로 처리될 수 있습니다. 보고서에 carcinoma in situ / intramucosal carcinoma / Tis 등이 있으면 D01 가능성을 검토하세요.



의학적 주의사항
본 글은 일반 정보로, 개인의 진단/치료/청구에 대한 확정적 판단이 아닙니다. 최종 코딩과 청구 가능 여부는 담당 의료진보험사 약관, 심사 기준에 따라 달라집니다.

정리 끝! ✅ 상피내암질병코드 D126의 차이를 이해하면 진단서 해석과 보험 청구가 훨씬 수월해집니다. 필요한 서류부터 차근차근 챙겨 보세요.

다음 이전

POST ADS 2